맞춤법 검사기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많이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되’와 ‘돼’ 그리고 띄어쓰기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들을 알려주는 사이트입니다. 저도 가끔 헷갈릴 때마다 들어가서 검색하곤 하는데 여러분들께도 소개해드릴게요~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활용하기
네이버에서 맞춤법 검사기로 검색하면 바로 나의 글을 입력해서 맞춤법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500자 내외까지 가능하니 미리 작성한 글을 직접 붙여 넣어도 되고, 직접 해당 창에 작성하셔도 됩니다. 다 쓴 후 검사하기 버튼을 누르면 나의 글의 맞춤법, 표준어의심, 띄어쓰기, 통계적 교정까지 각각의 색깔로 구분되어 교정 결과가 보여집니다. 가장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맞춤법 검사기이니 여러분도 꼭 사용해 보시길 추천드려요!
맞춤법 검사기, 자주틀리는 맞춤법 되 / 돼 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되’ 와 ‘돼’ 의 구분 방법은 간단합니다. 일단 ‘하’ 나 ‘해’ 를 넣어서 말이 되면 ‘되’ 가 맞는 표현이고, 아니면 ‘돼’ 가 맞는 표현이에요. 예를 들어서 “내가 하면 안 될까?” 라는 문장에서는 ‘안’ 이라는 부정어가 붙었기 때문에 ‘하면’ 이 아니라 ‘하면 안’ 이라고 써야 합니다. 따라서 답은 ‘안돼’ 가 되겠죠?
맞춤법 검사기 정확한가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 검사기를 신뢰하지만 100% 완벽하진 않아요. 예를 들어 ‘되’와 ‘돼’ 구분하기 같은 경우엔 거의 대부분 틀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되/돼 대신 하/해를 넣어보면 되는데요. 만약 문장 안에 ‘하’ 또는 ‘해’가 들어갈 자리가 없다면 무조건 틀리다고 판단하면 돼요. 그리고 가끔가다 틀리는 단어 중에 “~로서”와 “~로써”가 있는데 이것 또한 문맥상 맞는 걸로 선택해야 합니다.
~로서: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써: 재료나 원료, 수단,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맞춤법 검사기 오류 어떻게 해결하나요?
가끔씩 맞춤법 검사기로 검사했는데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죠? 그럴 때는 당황하지 말고 다시 한번 검토해 보세요. 다른 곳에서도 똑같이 틀릴 확률이 높습니다. 혹은 오타라고 생각하시고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실제로 제 지인분께서도 실수로 '안'을 '않'으로 쓰셨는데 그것도 모르고 계속해서 글을 올리시다가 나중에서야 알게 되셨답니다. 혹시라도 헷갈리신다면 네이버 사전 검색을 추천드립니다. 모르는 단어나 문법 정보뿐만 아니라 맞춤법 관련해서도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실제로 제 주변에서도 가끔 헷갈리는 맞춤법 실수들을 하곤 하는데요, 그럴때마다 옆에서 알려주는 친구한테 미안하기도 하고 민망하기도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일을 방지하고자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면 그런 조금 창피한 일은 없을 수 있으니 만약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맞춤법 검사기를 꼭 사용해 보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