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토픽

다시 돌아보는 삼성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by 일상 마스터 2025. 3. 18.

삼성전자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는 바로 '프랑크푸르트 선언(Frankfurt Declaration)'입니다.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이건희 당시 회장이 임직원들과 함께 발표한 이 선언은 삼성의 기업 문화와 경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금,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프랑크푸르트 선언이 삼성과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겠습니다.

 

1. 프랑크푸르트 선언이란?

출처 : 삼성전자

1993년 6월, 이건희 회장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삼성 주요 경영진과 함께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꿔라”라는 강렬한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이는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삼성의 기업 문화, 제품 품질, 경영 철학을 완전히 혁신해야 한다는 의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당시 삼성은 세계 시장에서 품질 문제로 인해 고전하고 있었으며,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했습니다. 이 선언을 기점으로 삼성이 나아갈 방향이 완전히 재정립되었습니다.

 

2. 프랑크푸르트 선언의 핵심 내용

프랑크푸르트 선언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실제 경영 전략으로 이어졌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품질 경영 강화: 기존의 양산 위주의 생산 방식을 탈피하고, 불량률을 낮추며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철학 도입
  • 경영 혁신: 조직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편하고, 실적 중심의 평가 체계 도입
  • 글로벌 시장 대응: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개편
  • 인재 육성: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조직 문화 조성

 

3. 프랑크푸르트 선언 이후 삼성의 변화

프랑크푸르트 선언 이후 삼성은 급격한 변화를 겪었고, 2000년대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3-1. 품질 중심 경영 정착

삼성은 “품질이 최우선”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6시그마(6 Sigma) 품질 혁신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대표적으로, 당시 생산된 휴대폰과 전자 제품을 직접 불태우며 품질 혁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3-2. 반도체 및 모바일 산업의 성장

프랑크푸르트 선언 이후 삼성은 반도체와 모바일 사업을 집중 육성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기 시작했으며, 갤럭시 스마트폰 시리즈를 통해 애플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글로벌 IT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3-3. 브랜드 가치 상승

1993년 당시 삼성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는 낮았지만, 이후 ‘삼성 갤럭시’, ‘삼성 QLED TV’ 등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급상승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 30년이 지난 지금, 프랑크푸르트 선언의 의미

2025년 현재, 프랑크푸르트 선언이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혁신이 기업 생존의 필수 요소가 된 시대에서 삼성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다시 한 번 ‘프랑크푸르트 정신’을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 AI와 반도체 산업 변화 대응: 인공지능(AI)과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됨
  • 지속 가능 경영: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 강화 및 친환경 제품 개발 필요
  • 혁신적인 조직 문화 조성: 스타트업과 같은 유연한 조직 문화 및 창의적인 사고 방식 도입

 

프랑크푸르트 선언은 삼성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이 세계 정상에 오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전략적 전환점이었습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삼성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들이 이 선언을 다시금 되새기며 혁신을 기억해야 할 때입니다.